11th TuDoKu Conference
Alltagsgeschichte in Korean Studies
12th-13th July, 2024 at the University of Edinburgh
Program
7월 12일 (금): 오전 9시 - 12시 12th July (Fri): 9.00-12.00 | |
9.00-9.50: | Holly STEPHENS (Uni. of Edinburgh), Cows and finance in early twentieth century Korea 홀리 스티번즈 (에든버러대학교), 20세기 초 한국에서 소와금융 |
10.00-10.50: | KWON Na-Hyun (Korea Uni.) The Great Famine and the Life of Nobi in 17th Century Chosŏn 권내현 (고려대), 17 세기 조선의 대기근과 노비의 삶 |
11.00-11.50: | KIM Kyeong-Sook (Seoul National U.), Common People's Strategies for Graveyard Litig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김경숙 (서울대), 조선후기 산송(山訟)과 하층민의 소송 전략 |
7월 12일 (금): 오후 1시 - 4시 12th July (Fri): 13.00-16.00 | |
13.00-13.50: | LEE Song Soon (Korea Uni.), Daily life and Awareness of reality of Low-ranking Joseon official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s - The Duet oㄹ conformity and Disaffection (不穩 Buron) 이송순 (고려대), 일제 식민지하 조선인 하급관료의 일상과 현실 자각 - 순응과 불온의 이중주 |
14.00-14.50: | Owen MILER (SOAS, Uni. of London), Relations between management, engineers and workers at the Hŭngnam Fertiliser Factory under Soviet occupation (1945-1948) 오웬 밀러 (SOAS, 런던대학교), 소련 점령기 (1945~1948) 흥남비료공장의 경영자, 기술자, 근로자의 관계 |
15.00-15.50: | ITAGAKI Ryuta 板垣竜太 (Doshisa Uni.), Ethnic Education by a Marginal Man: The Border Crossing of a Young Economic Yoo Inho and the Korean Educational Movement in Kyoto (1949-51) 이타가키 류타 (도시샤대학교), 경계인의 만족교육: 경제학도 유인호의 월경과 교토의 조선인 교육운동 (1949-51) |
7월 12일 (금): 오후 4시 아서스 좌석 등산답사 12th July (Fri): 16.00 Excursion to Arthur’s Seat |
7월 13일 (토): 오전 9시 - 12시 13th July (Sat): 9.00-12.00 | |
9.00-9.50: | Na Sil HEO (Uni. of South Carolina), Foreign Calves, National Milk: Domesticating Dairy Production in Cold-War Korea 허나실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외국 송아지, 국산 우유: 냉전 시대 한국의 유제품 생산 |
10.00-10.50: | KWON Hyuk Eu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ti-communism in everyday life: Report a suspicious person to the counter-espionage number 113 권혁은 (서울대 규장각), 일상화된 반공, 반공화된 일상: 113 간첩신고전화의 보편화와 ‘거동수상자’ |
11.00-11.50: | Alain DELISSEN (EHESS), Review of “oral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and “Oral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in the 20th century” by 20th century people's life history research group 알랭 델리센 (고등사회과학대학권), 20 세기 민중생활사연구단의 <<한국민중구술열전>>과 <<20세기 한국민중의 구술자서전>>에 대한 재검토 |
7월 13일 (토): 오후 2시 - 4시 13th July (Sat): 14.00-17.00 | |
14.00-14.50: | JUNG Byung Wook (PRIKS, Korea Uni.), Everday life and women in letters between Korea and Germany in the 1970s - A Case Study of Letters from Nurse K and Her Mother 정병욱 (고려대), 1970 년대 한국과 독일 왕래 편지에 나타난 일상과 여성: K와 그 모친의 편지를 사례로 |
15.00-15.50: | You Jae LEE (Tübingen Uni.), In the Land of their Parents. 2. Generation Korean Germans working and living in South Korea 이유재 (튀빙겐대학교), 부모님의 나라에서. 독일 한인 2세의 한국에서 일하기와 살아가기 |
15.50-16.10 break - 휴식 시간 | |
16.10-17.00: | Bonnie TILLAND (Leiden Uni.), Go Forth, Global Youth!: South Korean Volunteer Cultures in Historical Perspective 본니 틸랜드 (라이덴 대학교), 나아가다, 글로벌 청년!: 역사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자원봉사 문화 |